야구중계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도중 추락한 제주항공 여객기가 사고 전 48시간 동안 8개 공항을 오가며 13차례 운항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항공기는 사고 발생 이틀 전 기내 환자 발생으로 회항하며 운항 일정이 지연돼 공항 체류시간이 기존보다도 더 줄었다. 제주항공은 통상적인 수준의 운항 스케줄이라며 해당 항공기가 정상적으로 정비를 받았고, 기체 이상 징후도 없었다고 설명했다.비행 데이터를 추적하는 항공전문 사이트 플라이트어웨어에 기록된 사고기(등록번호 HL8088)의 운항이력을 보면, 사고기는 최근 48시간 동안 무안·제주·인천공항과 중국 베이징, 대만 타이베이, 태국 방콕, 일본 나가사키,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등을 오가며 모두 13차례 운항했다. 공항 체류시간도 대체로 1시간 내외로 짧았다.특히 이 항공기는 사고 이틀 전인 27일 제주에서 베이징으로 향하던 중 기내에 환자가 발생해 인천공항으로 회항했다가 다시 베이징으로 출발했는데, 이 과정에서 베이징...
한국공항공사는 여객기가 추락한 무안공항 활주로를 폐쇄하는 등 무안공항 운영을 중단했다.여객기가 추락한 전남 무안공항을 관리·운영하는 한국공항공사는 29일 오전 9시 3분쯤에 무안공항 활주로를 이탈한 항공기 사고와 관련해 비상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사고 발생 시 메뉴얼에 따라 무안공항 활주로를 폐쇄하는 등 공항 운영을 중단했다”고 말했다.무안공항 운영이 중단됨에 따라 이날 국제선과 국내선 여객기가 모두 결항됐다.한국공항공사는 모든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해 인명구조와 사고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해 서울 김포공항에 있는 본사와 무안공항에 사고수습대책본부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전남 무안공항에서는 이날 오전 9시 3분쯤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를 이탈해 활주로 외벽과 추돌, 화재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28명이 숨지는 등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사고가 난 기종은 여객기는 B737-800으로,...
용산어린이정원(용산정원) 전시물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시민들을 콕 집어 출입을 가로막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출입금지 통보 당일 근거 규정을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 법적 근거 없이 졸속으로 관련 규정을 바꿔 대통령실 눈 밖에 난 시민의 공공정원 출입을 막은 것이다. 이 조치는 대통령경호처의 요청으로 이뤄졌는데, 12·3 비상계엄 사태로 구속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당시 경호처장이었다.29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서울행정법원 판결문에는 LH 측의 무리한 출입 통제와 관련 규정 개정 과정이 속속들이 담겼다. 이 소송은 김은희 용산공원시민회의 대표 등이 지난해 7월 용산정원 출입을 신청했다가 ‘예약불가’ 통보를 받은 데서 시작됐다. 김 대표 측은 용산공원에서 윤석열 대통령 부부를 주제로 한 색칠놀이가 진행된 것을 비판하는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뒤 출입금지를 당했다고 주장했다.LH는 지난해 7월10일 김 대표 측 문제제기가 있자 ‘용산 반환부지 임시개방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