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홈타이 통계의 눈으로 보면 의료기관은 하루에도 천문학적인 양의 데이터가 생산되는 공장과도 비슷하다. 환자의 나이와 성별, 키와 몸무게에서 시작해 진단명과 각종 검사 결과, 처방을 내린 약제의 성분까지 하나하나가 모두 데이터다. 과거부터 이런 데이터는 쌓이고 쌓여 빅데이터를 형성했으나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과 추세 등을 발견하기엔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최근 급속도로 이뤄진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이 빅데이터를 분석해 건강과 질병에 대한 정보를 환자마다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곽상규 대구가톨릭대 의과대학 교수(의학통계학)는 이런 변화를 감지해 의료현장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의 국제 표준을 제정하는 기구인 국제임상데이터표준컨소시엄(CDISC) 인증 데이터 관련 3종의 자격을 국내 최초로 취득했다. 곽 교수를 지난 5일 연구실에서 만나 미래 의료의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의료현장에선 어떤 역할을 하나.“병원에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