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위태롭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4월23일, 한국의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하루 뒤 발표된 한국은행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는 전기 대비 -0.2%를 기록했다. 수출 감소가 본격화되기도 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연간 성장률이 0%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결코 과장이 아니다.한국은행의 최근 경제 진단은 우려를 더욱 키운다.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 이후 경제심리는 얼어붙었고, 트럼프 정부의 본격 출범과 함께 통상환경 악화까지 겹치면서 내수와 수출이 동시에 식고 있다. 1분기 민간소비는 0.1% 줄었고, 음식·숙박·소매업 매출도 눈에 띄게 감소했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각각 2.1%, 3.2% 줄었으며, 수출도 1.1% 감소했다. 특히 2분기 이후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 여파로 수출 부진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전망된다.이런 흐름이 지속된다면, 성장률 1% 선마저 무너질 위험이 커질 ...
교육부가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8%가 “수업복귀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대다수 의대가 오는 30일 유급 시한을 맞이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복귀 여론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교육부가 29일 공개한 ‘의대 학생 대상 수업참여 의향 익명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교육부에 자료를 제출한 24개 대학 의대생 1만1889명 중 6742명(56.7%)가 수업 복귀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전체 인원 중 조사 응답을 완료한 학생이 7673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응답자 중 87.9%가 찬성 의사를 밝힌 것으로 보인다.교육부는 현재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보다 수업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수가 2~3배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25일부터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와 협의해 개별 대학에 익명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날까지 40개 의대 중 29개 대학이 조사를 완료했고, 1개 대학이 진행 중이다.교육부 관계자는 “복귀 여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