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자라면서 가장 자주 | |||||
---|---|---|---|---|---|
작성자 | (183.♡.193.166) | 작성일 | 25-08-11 01:44 | ||
네이버상위노출 아이가 자라면서 가장 자주 겪는 사고 중 하나가 낙상입니다. 신생아 시기엔 기저귀 갈이대에서 떨어지거나, 조금 큰 아기는 침대에서 구르다 떨어지기도 해요. 식탁 위를 기어오르다 떨어지거나 욕실에서 미끄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머리를 부딪히는 사고는 생각보다 흔하게 일어납니다.이럴 때 부모가 가장 걱정하는 것은 “혹시 뇌에 이상이 생긴 건 아닐까?”입니다. 그래서 “CT를 꼭 찍어야 하나요?”라는 질문도 많이 하시죠. 하지만 머리를 다쳤다고 해서 모두 CT를 찍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 응급 소아과 의사들이 만든 기준에 따르면, 의식이 정상이고, 떨어진 높이가 낮으며, 구토나 보챔, 머리에 혈종 같은 외상이 없다면 CT를 찍지 않고 경과를 관찰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반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CT 촬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의식이 혼미하거나, 많이 울고 토를 하며, 머리에 혹이 크게 생겼거나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경우예요. 특히 신생아나 3개월 미만의 아기는 표현력이 없어 작은 외상도 더 조심해야 해요. 기저귀 갈이대 같은 높은 곳에서 떨어졌다면 두개골이 골절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또한 연령에 따라 판단 기준도 다릅니다. 신생아나 3개월 미만 아기는 작은 충격을 받더라도 큰 아이들보다 크게 다칠 수 있어 CT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3개월에서 2세 연령의 아이라면 머리에 혹이 생기거나 말랑한 혈종이 생기는 경우, 또는 90cm 이상 높이에서 떨어졌을 때 CT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2세 이상 아이들은 의식 상태나 기억력 저하, 걷는 모습 등과 함께 아이가 스스로 표현하는 증상까지 고려해 결정하게 됩니다.가장 중요한 건 아이의 행동을 잘 아는 부모의 관찰입니다. 조금이라도 평소와 다르다는 느낌이 든다면 병원을 찾아 의사의 판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기억해야 하는 또 한 가지는 낙상 직후만이 아니라 그 이후의 경과 관찰도 중요하다는 점이에요. 사고 후 몇 시간 동안 아이가 잘 먹고 잘 놀며 평소와 같다면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이후 구토가 반복되거나, 자꾸 졸리거나, 걷는 모습이 이상해진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해요.한국계 여성 장애인 인권 운동가의 얼굴이 새겨진 25센트(쿼터·사진) 동전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시중에 보급된다. 주인공은 스테이시 박 밀번으로, 한국계 인물이 미국 화폐에 등장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미 재무부 등은 참정권, 시민권, 노예제 폐지,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 사회에 공헌한 여성들을 기리기 위해 2022년부터 올해까지 총 20명의 여성을 쿼터 뒷면에 등장시키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밀번은 19번째 헌정 대상자다.밀번은 주한미군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의 삼 남매 중 첫째로 태어났다. 서울에서 태어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성장했다. 한국 이름은 박지혜로 알려져 있다.선천적으로 근육 퇴행성 질환인 근이영양증을 앓았던 그녀는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장애인 인권 운동가로서 두각을 드러냈다. 스무 살이던 2007년에는 10월을 ‘장애인 역사 및 인식의 달’로 지정하고 모든 학교에서 장애인 역사를 교육하도록 하는 노스캐롤라이나 주법 제정 및 통과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신장암 치료 중에도 열정적으로 활동하던 그는 서른세 번째 생일이던 2020년 5월 19일 수술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이가현 기자 hyun@kmib.co.kr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네이버상위노출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