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나름 글루텐없는 쌀도우 피자다. ㅎㅎ 만든 반죽 | |||||
---|---|---|---|---|---|
작성자 | (183.♡.179.112) | 작성일 | 25-04-29 11:43 | ||
그래도 나름 글루텐없는 쌀도우 피자다. ㅎㅎ만든 반죽들은 머핀틀 절반 정도 채운다.덕분에 (?)쌀가루 / 잘 익은 바나나 / 시금치 / 달걀6개월에 먹던 간식을 3년이 넘도록 아직까지 잘 먹는다.겸사겸사 남겨보는 초간단 레시피.블렌더에 윙 갈리면 곱게도 갈린다.돌쯤에는 달걀 1개 레시피로 만들어서세 숟가락 정도 넣는다.탄단채 완벽한 한 끼 대용 ^.^오늘은 여섯 숟가락 투하 !이건 평소 남편이 해 주는 세상의 맛 들어간 간식.나름 건강하게 만들어주고있다.내가 먹이고 싶은 양 만큼 (?) 시금치를 덜어낸다.그때 바나나도 넣고 또 갈면 끝 ;;;계란이랑 데친 시금치 넣고난 바나나1개 달걀1개 넣는 레시피 기준시중 레시피보다 시금치 양이 꽤 많은 편이다.양이 확 준다 ^^시금치에 쓰이는 농약은 수용성이니 물에 담구고 헹군다.우리집 먹보탱.아이가 잘 먹는 먹보라서짜라란~~~나중에는 이것도 공유해봐야지.요리 극혐러 엄마도 움직이게 만드는바나나는 검은 반점이 생길수록 달콤하다.겨울에는 포항초로 만들기도한다.절반 딱 덜어서 우유랑 주면 간식으로 충분했고ㅋㅋㅋㅋㅋㅋ 너무 야매요리인가집 안에서는 돌 지난 아가들이 먹어도 괜찮을정도로냠.집 밖에서는 오만가지 다 먹어도 ^^..후자가 겉이 노르스름하게 갈색? (전문 용어가 있던데)160도에 15분 / 165도에 13분최대한 건강하게 오래 먹이려한다.대략 10g 정도인데,우리 꼬맹이는 채소를 잘 먹어서무성한 시금치 한 단 깨끗하게 씻어 데치면제주도 사수항 인근 바닷속, 계란판과 컵 같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여기저기 보입니다. 녹거나 썩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양 생물들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합니다. 국립생태원이 폐사한 바다거북을 부검해 보니, 각종 플라스틱 쓰레기가 쏟아져 나왔습니다. 쓰레기를 먹이로 오인해 삼킨 겁니다. 인류가 지금까지 만들어낸 플라스틱은 137억 톤 정도, 이 중 11%만 재활용됐고 76%는 그대로 버려졌습니다. 자연에서도 생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과학자들은 미생물을 활용하는 방식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정준영/CJ제일제당 BIO연구소 Synthetic BIO담당 : 생분해성 플라스틱(PHA)은 미생물만 만들어 낼 수있는 고분자 소재입니다. 해양과 토양 등 환경에 노출 시 생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소재인데.]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려면 미생물을 조작하는 방식을 찾아야 하는데, 여기에 대사공학 이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상엽/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 대사공학은 생명체의 대사회로를 우리가 뚜렷한 목적을 갖고 원하는 방향으로 디자인하고 실제로 조작해서 만듦으로써 유용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해줍니다.] 과학자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온실가스를 원료로 쓰는 방식도 시도 중입니다. 미생물이 온실가스를 이용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만들게 되면, 대기 중 온실가스도 줄이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서상우/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합성생물학 기술을 활용하면, 자연계에 존재하는 온실가스 대사 경로와 플라스틱 생산 경로를 원하는 대로 재설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온실가스는 반응성이 낮은 탓에 미생물이 활용할 수 있게 만드는 데 많은 공정과 에너지가 투입돼야 합니다. 필요한 만큼의 플라스틱을 만들어내기엔 현재로선 경제성이 너무 떨어집니다. [서상우/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하는 인프라, 대규모 생산 공정으로의 확장,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플라스틱의 규제 이슈, 시장에서의 소비자 반응까지 모두가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전문가들은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이 활성화되려면, 기술 개발을 넘어 정부의 지원과 함께 산업계와 소비자 호응까지 더해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취재 : 서동균, 영상편집 : 윤태호, 제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