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닉스구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지 않는 기업의 반도체 수입품에 “꽤나 상당한(fairly substantial) 규모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정보통신(IT) 업계와의 만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으로 들어오지 않는 기업들에 곧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정확한 시점이나 세율은 밝히지 않겠지만 꽤 상당한 규모의 관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내에 이미 들어와 있거나 공장을 짓고 있거나 들어올 계획을 세운 기업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예를 들어 (애플 최고경영자) 팀 쿡은 꽤 괜찮을 것”이라며 맞은편에 앉아 있던 쿡을 직접 언급했다. 애플은 최근 4년 내 미국 내 총 투자 규모를 6000억달러(약 835조원)로 늘리기로 발표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현재 미국에 생산시설을 증설하고 있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반도체 관세는 피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미국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내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제조 장비를 공급할 때 예외적으로 누려온 개별 허가 절차 면제를 내년 1월부터 폐지하기로 하면서 두 업체에 미칠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으로 들어오는 외국산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는 동시에,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예외를 적용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5일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부당대우나 임금체불 사례에 대한 실태조사를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수석급 회의에서 “통상 국가에서 문화 국가로 변모한 대한민국 국가 위상에 걸맞게 한국에 머무는 외국인이 부당한 대우를 받아선 안 된다”며 “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하고 그 방안을 마련해 제출하라”고 지시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밝혔다.
강 대변인은 “어제(4일) 몽골 대통령과 (이 대통령이) 통화를 하는 중에 (몽골 대통령이) 한국에 머무는 자국민에 대해 특별한 신경을 써주신 데 대한 사의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회의에서 관련 통화 내용을 언급하며 “이젠 정말 우리가 과거에 수혜를 입던 국가가 아니라 기여·공여하는 국가가 됐다는 자각이 더 들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내 노동자에 대한 체불임금 문제를 논의하는 중에 “국내 노동자의 체불임금뿐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까지도 다 챙겨봐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2일 국무회의에서도 임금체불에 대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의 보고를 받은 뒤 “(임금체불은) 다중을 상대로 하는데, 중대 범죄로 생각해야 한다”며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임금체불도 많다고 한다. 그 사람들이 강제 출국당하면 영영 (임금을) 떼먹을 수 있으니 일부러 그런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임금을 떼먹힌 외국인 노동자는 출국을 보류해주고, 돈 받을 때까지 기회를 주는 것도 (법무부에서) 검토해봐야 할 것 같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