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주식카톡방 올해 2분기 ‘서학개미’의 해외주식 투자 등이 늘어나면서 대외금융자산과 해외 증권투자 규모가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국내 주가 상승률이 미국을 웃돌아 외국인 보유 국내 주식의 평가이익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잠정)’를 보면, 2분기 말 기준 한국의 대외금융자산은 2조6818억달러로 집계됐다. 전 분기 말보다 1651억달러 증가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분기 기준 증가 폭도 역대 가장 컸다.
특히 대외금융자산 중 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1조1250억달러)가 석 달 사이 1132억달러(지분증권 956억달러·부채성증권 175억달러) 늘어 분기 기준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미국 증시 호조로 해외 주식투자가 확대되고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해외 채권투자가 지속된 데 따른 것이다. 직접투자는 자동차, 2차전지 업종 중심으로 지분 투자가 지속되면서 264억달러 늘었다.
외국인의 국내 투자 규모인 대외금융부채(1조6514억달러)도 2186억달러 늘었다. 2020년 4분기(2403억달러)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증가 폭이다. 대외금융부채 중 비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1조510억달러)가 1860억달러(지분증권 1477억달러·부채성증권 383억달러), 직접투자(잔액 3172억달러)가 261억달러 각각 늘었다.
대외금융부채 증가 폭이 대외금융자산 증가 폭을 웃돌면서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340억달러로 전 분기보다 536억달러 줄었다. 2개 분기 연속 감소지만 지난해 4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1조달러대를 기록했다. 한국은 지난해 4분기 처음으로 한 국가의 대외지급 능력을 가늠하는 지표인 순대외금융자산이 1조달러를 넘어섰다.
임인혁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거래요인 측면에서는 해외 직접투자와 증권투자가 늘며 순대외금융자산이 증가했으나 비거래 요인을 함께 고려할 경우 국내외 주가 상승률 차이 등에 따른 비거래평가손익 영향으로 부채 증가 폭이 자산 증가 폭을 상회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순대외금융자산 잔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2분기 중 코스피 상승률(23.8%)은 나스닥종합지수(17%), S&P500지수(10.6%)를 웃돌았다.
25일 KBS 2TV에서 방영되는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에서는 데뷔 50주년을 맞은 가수 혜은이의 콘서트가 공개된다. 공연에는 ‘서울패밀리’ 김승미부터 재즈 대모 윤희정까지 혜은이의 절친이 총출동한다. 공연에서 즉석 노래 제안을 받은 박원숙은 잔뜩 긴장한다. ‘같이 삽시다’의 대표 음치·박치로 통하는 그가 노래를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 데뷔부터 50년을 함께한 혜은이의 팬들은 노래 전부를 따라 부르며 남다른 사랑을 보여준다.
공연 뒤에는 예능 <흑백요리사>로 화제 된 ‘이모카세’ 김미령 셰프를 찾아간다. 하루에 국수만 1000그릇 넘게 만든다는 그는 감칠맛 나는 반찬부터 제철 해산물을 사용한 20가지 코스요리를 선보인다. 김 셰프는 출산 직전까지도 식당일을 했다고 밝히며 겪은 일들을 풀어놓는다.
요리를 즐기던 중, 막내 윤다훈의 부탁으로 추억이 담긴 비밀 코스요리가 등장한다. ‘같이 삽시다’를 떠나는 윤다훈의 마지막을 기념하는 요리다. 그간 살뜰히 식구들을 챙긴 막내, 첫 만남의 이벤트 때처럼 꽃다발과 손편지를 전하고 사남매는 눈물을 터뜨린다. 오후 8시30분 방송.
“세계 최고 선수들과 같은 무대에서 겨루는 것이 꿈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진출에 다시 도전하고 있는 김비오(사진)는 21일 기자와 통화하며 이렇게 말했다. 김비오는 20대 초반 미국 무대에 선 적이 있다. 2011년과 2012년 PGA 투어와 콘페리 투어에서 뛰었다. 하지만 자리를 잡지 못하고 돌아와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에서 통산 9승을 거뒀다.
그런 김비오에게 생각지 못한 기회가 왔다. 올해 KPGA 투어 선수에게 배당된 한 장의 콘페리 투어 쿼터를 받은 지난해 신인왕 송민혁이 허리 부상으로 출전을 포기했다. 세계 최고의 무대에 서고 싶다는 꿈을 간직한 김비오가 대신 그 기회를 잡았다.
김비오는 “들어온 기회를 저버릴 필요가 있겠느냐”고 했다. 그리고 꺼질 듯한 불씨를 계속 살려나가고 있다. 지난 4일 끝난 유타 챔피언십에서 공동 22위에 올라 다음 대회 출전 자격을 얻은 김비오는 11일 피너클 뱅크 챔피언십에서 공동 28위를 하면서 출전 자격을 이어갔다. 그리고 18일 세 번째 대회인 앨버트슨스 보이시 오픈을 공동 33위로 마쳐 포인트 랭킹 147위로 올라섰다.
콘페리 투어는 보이시 오픈을 끝으로 휴식기를 가진 뒤 다음달 12일 개막하는 시몬스 뱅크 오픈을 시작으로 4개의 파이널 대회를 치른다. 포인트 랭킹 156위 안에 든 선수들만 파이널에 출전할 수 있다.
불과 3번의 대회만 뛰고도 파이널 출전권을 얻은 김비오는 “나도 미국 무대에서 가능성이 없지는 않겠구나라고 처음 생각하게 된 3주였다”고 말했다. 말은 겸손하게 했지만 목소리에서는 자신감이 느껴졌다.
세계 최고 무대에서 뛰는 것은 김비오가 어릴 때부터 키워온 꿈이다. 그는 “내가 어릴 때 아버지는 ‘PGA 투어가 그렇게 멀지 않을 수도 있어’라고 말씀하셨다. PGA 투어에 대한 꿈은 항상 잃지 않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한동안 PGA 투어 도전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스스로에 대한 확신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지금은 달라졌다. 한때 ‘번아웃’이 왔지만 올해 초 골프를 잠시 쉬고 가족들과 여행을 하면서 ‘골프를 재미있게 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콘페리 투어는 시즌 종료 시 상위 20명에게 내년 시즌 PGA 투어 시드를 주고, 투어 챔피언십에 출전한 75명에게는 내년 콘페리 투어 풀시드를 준다.
미국 무대의 문을 계속 두드리며 세계 30위에 진입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김비오는 “어릴 때부터 골프선수로서의 목표는 세계 정상급 선수들과 같은 무대에서 겨루는 것이었다”면서 “이번에 미국에서 3주 동안 경기를 하면서 그것이 꿈만은 아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엄마라서 은퇴할 수도 있었겠지만, 엄마라서 다시 도전해보고 싶었다.”
암벽타기 세계 최고 여자 선수로 군림하다가 결혼과 출산으로 잠시 휴식기를 가진 ‘클라이밍의 여제’ 김자인(37)이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선수권에 출전한다.
김자인은 21일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국제스포츠클라이밍연맹(IFSC) 2025 스포츠클라이밍 & 패러클라이밍 세계선수권 미디어데이에 참석해 “출전 선수 중 내가 최고령일 것”이라며 “지금 은퇴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지만, 엄마라서 다시 도전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김자인은 2004년부터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IFSC 월드컵 리드 부문에서 세 차례(2010·2013·2014년) 종합 우승을 했고, 월드컵 리드 부문에서만 통산 31회 정상에 올랐다. 세계선수권에서도 두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세계 여자 리드 클라이밍을 사실상 지배했다.
그는 2015년 소방관 출신 오영환 전 국회의원과 결혼했고, 2021년 3월 딸 오규아를 출산했다. 이후 김자인은 대회에 나서지 못했다.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한 것은 아니었지만, 육아와 훈련을 병행하기가 쉽지 않았다.
김자인은 2018년 세계선수권과 월드컵을 끝으로 국제대회에서 자취를 감췄다가, 2023년 7월 샤모니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건재를 과시했다. 당시 34세로, 지금도 IFSC 월드컵 역사상 최고령 우승 기록이다.
이번 세계선수권은 오는 9월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세계선수권이다. 클라이밍 1세대 베테랑 스타로서 출전하고 싶은 건 당연했다. 그는 “내가 클라이밍을 시작했을 때는 종목 자체가 알려지지도 않았고, 올림픽 출전은 꿈도 꾸지 못했다”며 “서울에서 세계선수권대회가 열리는 것은 나에게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라서 후회 없이 최선을 다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김자인은 이번 대회에서 주종목인 리드에만 출전한다. 리드는 높이 15m 인공암벽을 제한시간 6분 안에 누가 더 높이 오르는지를 겨루는 종목이다. 그는 세계선수권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땄는데, 이 중 5개를 리드에서 획득했다. 김자인은 “은퇴해도 될 나이에 세계선수권에 나서는 것 자체로 영광”이라며 “메달이 물론 목표지만, 후배 선수들에게 나처럼 열심히 하면 오랫동안 선수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번 서울 세계선수권대회가 선수로서 뛰는 마지막 국제대회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은퇴를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명확하게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2028년 LA 올림픽 출전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언급했다. 김자인은 “LA 올림픽에 도전하겠다고 말하는 건 지금 시기상조지만, 올림픽 무대에 서고 싶다는 마음으로 여기까지 왔다”고 말했다. 김자인은 손가락 부상으로 인한 국제대회 성적 부진 탓에 2021년 열린 도쿄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