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부터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하는 6·3 대통령 선거는 이른바 ‘이재명 대세론’ 사수냐 공략이냐가 핵심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남은 22일 동안 보수 진영이 후보 단일화·교체 추진에 따른 분열을 극복하며 결집할 수 있을지가 주요 변수다. 세 차례 TV토론 등 대선 국면 고비마다 후보들의 부적절한 언행이 나오면 지지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줄곧 50% 안팎의 지지율을 보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독주 구도 속에서 대선 운동의 막이 올랐다. 11일 공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이재명 후보는 52.1% 지지율을 얻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31.1%)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6.3%)를 크게 앞섰다. 이재명 후보는 전날 발표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에서 44.6%를 기록해 김 후보(31.7%), 이준석 후보(9.4%)를 제쳤다.김 후보가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보수 진영을 결집해 ‘반이재명’ 전선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관심...
김·한, 서로 네 탓…권성동은 ‘단식’ 돌입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왼쪽 사진)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오른쪽)가 7일 단일화 담판을 벌였지만 결렬됐다. 당이 정하는 방안에 따라 오는 11일까지 단일화하자는 한 후보와 당 주도의 단일화에 거리를 둔 김 후보 간 입장 차만 확인했다. 국민의힘의 단일화 압박이 거세지며 대선 후보와 당 간 사상 초유의 충돌 사태가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한 후보와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의미 있는 진척이 없었다”며 “참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후보 캠프의 이정현 대변인도 회동이 끝난 뒤 “특별하게 합의된 사안은 없다”고 밝혔다. 회동은 오후 6시부터 약 1시간15분 동안 배석자 없이 진행됐다.김 후보는 “제 나름대로 생각하는 단일화 방안을 말씀드렸는데 한 후보는 ‘아까 한 긴급 기자회견대로’라는 말씀을 확고하고 반복적으로 계속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