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추진해온 대표도서관 건립 사업이 7년 만에 첫 삽을 떴다. 2018년 처음 추진된 이후 여러 차례 일정이 지연된 끝에 지난해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하면서 사업이 본격화됐다.전북도는 21일 전주시 덕진구 장동 1090번지 일원에서 대표도서관 착공식을 열고, 2027년 개관을 목표로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도는 이날 “도민이 지식과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상징적 거점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대표도서관은 전북혁신도시 기지제 수변공원 내 2만9400㎡ 부지에 들어서며, 지하 1층, 지상 4층, 총넓이 1만517㎡ 규모로 조성된다. 총사업비는 600억원으로, 전북학자료실과 공동보존서고, 일반 및 어린이 자료실, 전시·홍보 공간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장서 수용 규모는 약 20만권이다.설계는 ‘한국 전통건축의 현대화’를 주제로 활동해온 건축가 이은영씨가 맡았다. 도는 “전통미와 현대적 실용성을 결합해 도민 누구나 찾고 싶은 도서관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애초 ...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20일 제110차 전체위원회를 열어 ‘10.28 건국대 시위 불법구금사건’ 등 12건에 대해 진실규명을 결정했다.전두환 정권 시절인 1986년 10월28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에 2000여명의 학생이 모였다. 이들은 ‘반외세 자주화, 반독재민주화, 조국통일’ 등 3대 구호를 내걸고 같은달 31일까지 투쟁을 벌였다. 이 사건으로 전국 29개 대학 1525명의 대학생이 연행됐고, 그중 1200여명이 검찰에 송치돼 구속 수사를 받았다. 한국 역사상 단일 사건으로는 최다 구속자를 기록한 인권침해 사건이기도 하다. 진실화해위는 이들 중 80명에 대해 진실규명을 결정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법원 영장 없이 체포·연행돼 불법 구금상태에서 조사받았다.진실화해위는 “이 사건 피해자들이 정부로부터 수사 과정에서 불법 구금을 당해 헌법이 보장한 신체의 자유,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등이 침해됐다”며 “중대한 인권을 침해했으므로 국가는 피해자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