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전야제가 열리는 17일 동구 5·18민주광장 일원에는 5만여명이 넘는 인파가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인파 분산을 위한 차량 통제와 600여명의 전담 인력을 배치해 안전사고를 예방한다는 계획이다.광주시는 “17~18일을 ‘특별대책기간’으로 지정했다”고 16일 밝혔다. 17일 민주평화대행진 출발지인 광주고등학교 등 5개소와 본행사 장소인 금남로 일원, 금남로4가역, 문화전당역을 중점관리대상으로 지정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대응에 집중할 계획이다. 민주광장을 비롯한 금남로 일대에는 전국 각지에서 5만명 이상이 모일 것으로 전망된다.우선 인파 분산 유도하기 위해 일대 교통 통제를 한다. 민주광장에서 우리은행 사거리까지 금남로 구간, 한미쇼핑에서 NC백화점까지 중앙로 구간이다.특히 안전관리를 위해 600여명의 인원을 투입한다. 행사안전관리요원 110여명을 비롯해 광주시, 동구, 경찰, 소방, 광주교통공사, 광주도시공사 등 관계기관 인력 5...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한 식량 배급소에서는 아침마다 아비규환이 펼쳐진다. 배급 시간이 되면 줄도 없이 몰려든 아이들, 노인들, 남성과 여성이 뒤엉켜 빈 냄비와 그릇을 들이밀고 음식을 달라고 호소한다. 그렇게 얻고자 하는 음식은 렌틸콩이나 강낭콩, 토마트 소스에 익힌 완두콩 한 국자다. 이스라엘군이 구호품 지원을 차단한 후 니하드 아부 쿠시와 10명의 요리사가 일하는 이 배급소는 하루 1000명분의 식사밖에 만들지 못하지만, 매일 아침 2000명 넘는 주민들이 몰려든다. 아부 쿠시는 “무력감을 느낀다. 사람이 너무 많다”며 “난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고 AP통신에 말했다.AP통신은 18일(현지시간) 세계 각지의 재난 상황을 경험한 구호 전문가와 가자지구 전쟁을 겪어온 팔레스타인인 등에게 3개월 가까이 이어진 이스라엘 봉쇄의 여파를 물었다. 인터뷰에 응한 이들은 지금 가자지구에서 벌어지는 상황이 ‘여태껏 본 것 중 최악의 재앙’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스라엘은 지난 3월2일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