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12·3 불법계엄 당시 진행된 국무회의와 관련해 경찰 소환조사를 받았다. 경찰이 대통령실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해 분석한 결과 한 전 총리와 최 전 부총리, 이 전 장관이 과거 경찰에 진술한 내용과 다른 점이 나타났기 때문이다.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26일 한 전 총리와 최 전 부총리, 이 전 장관을 각각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고 밝혔다. 특수단은 최근 대통령실 집무실과 불법계엄 선포 전후 국무회의가 열린 대접견실의 CCTV 영상을 확보해 분석 중이다. 영상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소집한 국무회의 참석자 등의 모습이 담겨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윤 전 대통령이 최 전 부총리와 이 전 장관에게 지시사항이 적힌 쪽지를 건넸다고 알려진 만큼 이 장면이 담겨 있을 가능성도 있다. 특수단 관계자는 “(세 사람이) 그동안 경찰에 출석해 진술한 것, 국회와 언론에 밝힌 내용 중 (영...
미국의 관세 부과 위협 속에 애플이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 확대를 꾀하고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소 25% 관세’를 무기로 ‘미국 생산’을 압박하고 나섰다. 삼성전자도 관세 대상으로 콕 집어 거론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애플에만 관세를 부과할 것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삼성이나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고 말했다. 6월 말부터 스마트폰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이곳(미국)에 공장을 지으면 관세는 없다”고 했다. 그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에게 ‘인도로 가는 건 괜찮지만 관세 없이 미국에서 제품을 팔 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이 같은 발언은 그가 같은 날 SNS에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뒤 나왔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와 반도체가 들어간 전자기기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