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답보 상태에 머물면서 뉴욕증시 3대 주요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다.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4.09포인트(0.28%) 오른 4만227.5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54포인트(0.06%) 상승한 5528.75, 나스닥종합지수는 16.81포인트(0.10%) 하락한 1만7366.13에 장을 마감했다.이날 주요 지수는 장중 한때 낙폭을 1% 이상으로 확대하기도 했다. 나스닥지수는 -1.46%, S&P500지수는 -1.02%까지 떨어졌다. 최근 주가지수가 가파르게 오른 데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주 나스닥지수는 6%, S&P500지수는 4% 넘게 상승한 바 있다.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단기 급등했던 시장은 협상이 예상보다 진전을 보이지 않자 다시 조정을 받는 분위기다.앞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한·미 고위급 통상 협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매머드급 사업인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취임 100일을 맞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전쟁의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관세 협상의 주요 카드로 활용해 한국을 강하게 압박할 것으로 전망된다.27일 통상 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관세 협상의 핵심 의제로 부상했다. 한국 정부 측은 무역 균형을 위한 에너지 구매 확대 노력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알래스카 LNG 도입에 관심을 두고 있다면서 실사단을 파견하는 등 사업성을 면밀히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을 전했다.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단 프루도베이의 가스전에서 채굴한 천연가스를 1300㎞에 이르는 수송관으로 운송해 액화한 뒤 수출하는 사업이다. 초기 사업비만 약 450억달러(64조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