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ü�Դϴ�. 국방부와 외교부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직후 군부대와 재외공관에 걸려 있는 윤 전 대통령 사진을 모두 내리라고 지시했다.국방부는 이날 국방장관실·각 군 참모총장실·회의실에 걸린 윤 전 대통령 사진(존영)과 국정 지표 액자를 철거하라고 지시했다.국방부 부대관리 훈령은 대통령 사진 등을 지휘관 사무실과 회의실에 걸어놓도록 돼 있다. 회의실에 걸린 대통령 사진의 크기는 가로 48㎝, 세로 60㎝다. 대통령 임기가 종료되면 세절 또는 소각처리 하도록 돼 있다. 신임 대통령 취임 때까지 해당 공간은 비어있게 된다.외교부도 이날 각국 주재 대사관과 총영사관 등 재외공관에 전문을 보내 공관장 집무실 등에 걸려 있는 윤 전 대통령 사진을 철거하라고 지시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당시 국방부와 외교부는 동일한 지시를 내렸다.외교부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재외공관에 전문을 보내 주재국과의 관계 관리 등 업무 수행에 진력하라고...
미국 백악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내용과 달라 혼선을 빚은 상호관세 행정명령 부속서를 수정했다. 이로써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로 확정됐다. 상호관세 부과 과정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엉성한 업무 대응이 계속 도마에 오르는 형국이다.3일(현지시간) 백악관 홈페이지에서 상호관세 행정명령 부속서를 보면 한국의 상호관세율이 전날 26%에서 25%로 수정됐다.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 상호관세 발표 행사에서 직접 들어 보인 국가별 상호관세율 도표나 백악관이 소셜미디어에 게시한 자료에서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한국의 상호관세율이 26%로 적시돼 혼란을 일으켰다.이에 한국 정부는 백악관과 상무부, 미 무역대표부(USTR)에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수치와 부속서상 수치가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해 문의해 왔다. 정부는 이날 오전에도 USTR 측과의 대면 협의에서 관세율을 트럼프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