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과 조현병 등의 정신장애와 관련된 유전변이가 환자가 느끼는 행복감 또한 좌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들 장애를 겪는 환자는 증상이 치료되더라도 주관적 행복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원홍희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명우재 교수 연구팀은 주관적 행복도와 정신장애 간 유전적 관계에 대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게재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진은 우울증, 양극성장애 1·2형, 조현병, 거식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스펙트럼장애, 대마초 사용장애,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강박장애, 뚜렛증후군, 알코올 사용장애, 알츠하이머병 등 14종의 정신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인 약 11만명, 유럽인 약 65만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했다.주관적 행복도란 개인이 느끼는 행복과 삶의 만족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약 40% 가량이...
KT지니뮤직이 10년간(2016~2025년) 음원 차트를 분석한 결과, 역주행으로 일간 차트 1위에 오른 곡은 총 21곡이라고 15일 밝혔다.KT지니뮤직에 따르면 역주행으로 일간 차트 1위에 가장 오래 머무른 곡은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으로, 47일간 정상을 지켰다. 아이들의 ‘나는 아픈 건 딱 질색이니까’(35일), 데이식스의 ‘해피’(32일), 더 키드 라로이&저스틴 비버의 ‘스테이’(30일), 브레이브 걸스의 ‘롤린’(27일)이 그 뒤를 이었다.KT지니뮤직은 이번 조사에서 ‘발매 후 1위에 도달하는 데까지 걸린 기간이 1개월 이상인 곡’을 ‘역주행 곡’이라 정의했는데, SG워너비의 ‘타임리스’가 6300일로 그 기간이 가장 길었다. 2004년 발매된 이 곡은 2021년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 등을 통해 재조명되며 사랑받았다. 2017년 출시된 곡 브레이브 걸스의 ‘롤린’은 역주행에 1456일이 걸렸다.역주행 곡은 10년 중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