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윤락(淪落)행위를 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시설에 강제로 수용된 여성들에 대해 국가가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첫 법원 판결이 나왔다.서울중앙지법 민사21부(재판장 김지혜)는 김모씨 등 12명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15일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원고들은 ‘여성들의 윤락행위를 막겠다’며 시행된 윤락행위방지법에 따라 시설에 강제로 수용됐다. 이들은 ‘윤락행위를 하게 될 현저한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요보호여자’로 분류됐다. 정부는 전국에 여성수용시설을 설치해 경찰과 보건소 등에 이들을 단속하도록 지시했다. 시설에 수감된 원고들은 제대로 된 의식주와 의료적 처우를 지원받지 못했다. 자의적인 중도 퇴소는 불가능했고, 건물에는 철조망과 쇠창살이 설치됐다. 외부와의 소통도 차단했다.▶ 법원 “여성수용시설 인권침해 피해자들에 국가가 배상해야”···첫 판결▶ [플랫]“미군 위안부, 국가가 조장했다” 8년 기다린 ...
차별의 나라에서 행복한 사람들저자는 한국인이 누리는 평온한 일상이 얼마나 차별적인 구조 위에 세워졌는지 분석한다. 한국인이 차별의 피해자에서 가해자가 됐음을 보여주면서 시대, 공간, 인종을 넘어 ‘차별 이득 사회’가 반복된다고 주장한다. 정회옥 지음. 위즈덤하우스. 1만8000원지구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저자는 자연과 동물에 관한 글을 쓰는 홍콩계 캐나다 에세이스트다. 저자는 곤충, 포유류, 양서류, 고대 생물과 화석 등 생물학적·지질학적 주제를 문학적으로 풀어낸다. 각종 생명체들의 생존 전략과 감각을 사회 구조와 교차시킨다. 아이작 유엔 지음. 성소희 옮김. 알레. 2만2000원기울어진 평등<21세기 자본>을 쓴 정치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와 <정의란 무엇인가>를 쓴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이 지난해 5월 파리경제대학에서 나눈 대담을 엮은 책. 불평등, 시장의 한계, 세계화와 포퓰리즘 등을 주제로 대화했다. 장...
톰 크루즈의 마지막 에단 헌트일까.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최종장’에서 크루즈는 다음이 없을 것처럼 질주한다. 하늘을 나는 비행기에 매달리고, 북극의 심해를 누빈다. 60대가 된 노장은 지치기는커녕 노련하고 집요하다. 이번에도 그는 인간이 지구상에서 맨몸으로 가지 못할 곳은 없다는 듯 극한에 도전한다.올해로 30년째를 맞은 블록버스터 시리즈의 8번째 영화 <미션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이하 <MI8>·크리스토퍼 맥쿼리 감독)이 오는 17일 개봉한다. 전편(데드 레코닝)에 이어 지각을 가진 인공지능(AI) ‘엔티티’가 IMF(Impossible Mission Force) 소속 특수요원 헌트의 주적이다. 인류 말살을 목표로 한 엔티티는 핵 보유국의 서버를 장악해 동시다발적 핵 전쟁을 유도하려 한다. 엔티티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고군분투가 2시간49분 동안 펼쳐진다.헌트 역의 크루즈는 스턴트 액션을 직접 소화하기로 유명하다. <MI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