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의 자회사 LS그린링크가 미국 버지니아주 체사피크시에서 미국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제조 공장을 착공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총 6억8100만달러(약 1조원) 규모의 이번 투자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이후 한국 기업의 첫 대형 현지 투자다.LS전선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의 공급망 자립 전략에 선제 대응하고,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전환을 이끄는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라며 “미국 내 해저케이블 생산 인프라가 극히 제한적인 만큼 현지 조달 확대와 공급망 안정성 측면에서 전략적 의미가 크다” 밝혔다.해저케이블 제조 공장은 엘리자베스강 유역 39만6700㎡(약 12만평) 부지에 연면적 약 7만㎡(약 2만평) 규모로 지어진다. 2027년 3분기까지 공장을 완공해 2028년 1분기 케이블 양산을 목표로 한다. 공장에는 201m 높이의 수직연속압출가교설비(VCV)와 전용 항만시설 등을 갖춰 초고압직류송전(HVDC) 해저케이블의 생산부터 운송, 공급까지 한번에 가능하다...
지난해 국내에서 관측된 낙뢰 횟수가 14만5784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평균과 비교해 44% 늘어난 건데, 기후 변화로 대기가 불안정해지면서 낙뢰가 잦아진 것으로 보인다.30일 기상청이 낸 ‘2024 낙뢰연보’를 보면,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낙뢰는 약 14만5784회로, 최근 10년(2015~2024년) 평균(10만1000회)보다 약 44% 많다. 전년(7만3341회)와 비교하면 약 99% 증가했다.전국 광역시·도별로 보면 가장 많은 낙뢰가 내리친 곳은 경북이었다. 경북 지역 낙뢰 횟수는 2만2780회를 기록했다. 전체 관측 낙뢰의 16%에 달하는 수치다. 이어 경기도(2만1742회), 경상남도(1만9649회)가 뒤를 이었다. 가장 적게 발생한 곳은 광주광역시(673회)였다.낙뢰 발생은 여름철에 두드러졌다. 지난해 발생한 낙뢰 중 83.9%는 여름(6∼8월)에 관측됐다. 8월 한 달에만 전체의 43.6%(6만3537회)가 관측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