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9일(현지시간) 중국에 84%의 상호관세를 추가 부과하고, 중국도 동률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양국이 관세를 두고 벌이는 ‘치킨 게임’이 세계 경제에 충격파를 가져올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관세국경보호청(CPB)에 따르면 9일 0시1분(한국시간 9일 오후 1시1분) 모든 중국산 제품에 84%의 추가 관세가 발효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 2일 대중 상호관세 34%를 예고하자 중국이 34% 보복관세 방침을 천명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세율을 50%포인트 더 올렸다. 지난 2월과 3월 펜타닐 (마약성 진통제) 문제 명목으로 중국에 부과된 기존 20% 관세를 합하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미국이 중국에 물린 추가 관세는 총 104%다.중국도 10일 12시1분부터 모든 미국산 제품에 84%의 관세를 부과하고 희토류 7종의 수출을 제한한다. 앞서 중국은 미국이 두 차례 10%씩 관세를 부과했을 때 농산물과 석탄, 대형 픽업트럭 등에 ...
윤석열 정부 3년 간 한국 사회 분열 수위는 수시로 임계치를 넘었다. 국민 통합에 나서야 할 대통령이 이념 전쟁에 불을 붙이고, 세대와 젠더를 가르고, 반대자를 적으로 몰았다. 적대에 기반한 윤 전 대통령의 통치는 12·3 비상계엄에 따른 파면으로 일단락됐다. 깊어진 분열을 치유하는 과정은 이제 시작이다. 전문가들은 시민은 적대적 정치의 극복을 요구하고, 정치권은 스스로를 개혁해야 한다고 제언했다.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에서 시민들은 극단적 분열의 목격자였다. 4개월 간 대규모 탄핵 찬반 시위 곳곳에서 충돌이 벌어졌다. 분열은 정치권, 종교계, 학계, 문화계, 시민단체 등 전반에서 확인됐다. 부정선거 음모론과 중국 개입설 등 가짜뉴스가 서로에 대한 혐오의 골을 키웠다. 지난 1월 발생한 서울서부지법 난입·폭력 사건은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상징적으로 드러냈다.비상계엄 사태 전부터 위기가 누적돼 왔다는 평가가 많다. 그간 쌓인 극단적 분열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폭발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