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강간변호사 중증장애인들의 배움과 공부는 한국 사회 전체의 변혁과 연결“학생이 되려면 투사 먼저 돼야” ‘불가능’에서 혁명의 씨앗 발견지난해 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를 그만두었다. 내가 지난 16년 동안 이어온 직함이다. 2008년 가을밤의 첫 수업 기억은 지금도 생생하다. 수업을 몇 시간 앞두고 야학이 아니라 서울시교육청으로 오라는 연락을 받았다. 현장수업 형태로 진행한다고 했다. 현장수업이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는 견학이나 야유회 같은 것인 줄 알았다. 막상 가보니 시위 현장이었다. 그날 서울시교육감이 장애인교육 예산을 삭감하겠다고 하자 교사와 학생들이 뛰쳐나온 것이다. 수업시간이 임박했는데도 몸싸움이 계속되었다. 수업이 어렵겠구나 생각하고 있을 때, 누군가 수업시간이라고 외쳤다. 그러자 거짓말처럼 수업 대형이 만들어졌다. 얼떨결에 학생들 앞에 선 나는 경찰을 등진 채 철학자 스피노자의 신과 선악 개념에 대해 강의했다.갑자기 시위를 중단하고서 시위 내용과 상관도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