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인터넷가입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 등 한국의 여성 노동 지표가 지난 20년 내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OECD 38개 국가의 15~64세 여성 노동 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23년 기준 고용률은 61.4%, 경제활동 참가율은 63.1%로 모두 31위로 집계됐다.📌[플랫] 30대 여성 고용률 추락 부르는 ‘경력단절’, 한국이 최악2003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 순위를 보면 고용률은 2003년 27위에서 20년 뒤 31위로 4계단 떨어졌다. 그 사이 순위는 한 번도 하위권(26~31위)을 벗어나지 못했다. 같은 기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32위에서 1계단 오르는 데 그쳤다.특히 2021년 기준 한국에서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56.2%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000만 이상 국가, 일명 ‘30·50클럽’ 7개국...
금융당국이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 목표를 지키지 못한 은행에 올해 대출 한도를 줄이는 페널티를 주기로 했다. 지난해 목표치를 초과한 대출 물량을 고려해 올해 공급할 수 있는 대출 총량을 깎겠다는 것이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신한·하나·우리은행이 페널티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금융당국은 올해 은행별 가계대출 증가 목표 한도를 설정할 때 전년도 목표치 초과분을 반영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은행권은 연초마다 금융당국과 협의해 그해의 가계대출 증가 목표를 제출해왔는데, 지난해 이를 지키지 않은 은행에 올해 대출 한도를 줄이는 방식으로 페널티를 주기로 한 것이다.금융당국 관계자는 “약속을 못 지킨 은행에 페널티를 줘야 한다는 정부의 원칙은 확고하다”면서 “지난해 초과분만큼 올해 한도를 줄이는 것 외에 다른 방식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초과분을 어느 정도로 반영할 것인지는 고민이 남았지만, 지난해 목표를 못 지킨 만큼 올해 한도를 축소하는 것이 기본적인 ...
철강, 시멘트·콘크리트, 기계·장비, 전기기계 등 연관 산업 산출물을 대량으로 쓰는 건설업의 생산유발효과가 전 산업 평균보다 10.5%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산업연구원이 2일 발표한 ‘건설 활동이 제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는 건설업 생산유발계수가 2020년 기준 2.017로 전 산업 평균(1.875)보다 1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건설업이 국내 전체 산업의 생산 증가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가 다른 산업보다 크다는 의미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건설업의 고용유발효과도 제조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건설업의 고용유발효과는 생산액 10억원당 10.8명으로, 제조업 평균(6.5명)보다 1.7배 더 많았다.보고서는 2020년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건설업에 5조원을 투자할 경우 3만1575명의 건설업 내 고용이 창출되고, 연관 산업의 고용도 2만2441명 발생한다고 밝혔다. 제조업은 6021명 유발되는데 업종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