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당일 제주도가 생산하는 수돗물의 절반 가까이가 사용되지 못한 채 누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수율을 올리기 위한 노후관 교체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더딘 속도로 진행되면서 유수율 85% 달성은 기존 2027년에서 2035년으로 미뤄졌다.제주도는 2023년 기준 제주지역 상수도 유수율은 54.2%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전국 평균 86%와 비교했을 때 크게 낮은 수치다. 유수율은 정수장에서 생산된 물이 각 가정으로 배달돼 요금수입으로 집계되는 수량의 비율을 뜻한다. 제주에서 상수도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절반 가까이가 지하에 스며들거나 버려진다는 의미다.제주의 유수율이 낮은 이유는 노후관이나 누수관에 대한 관리와 교체가 제때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제주도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유수율을 실제보다 31.3%에서 32.9%까지 높게 거짓으로 책정해 발표했다. 2009년 제주도의 상수도 유수율은 45.4%였지만 76.7%로 환경부에 거짓 보고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