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성층권 무인기(드론)가 저고도 비행시험에 성공했다. 이 무인기가 실용화하면 고도 약 20㎞ 하늘에서 최대 30일 이상 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높은 하늘 위에서 통신 중계와 재난 감시,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할 이동 기지가 생기는 셈이다.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한국 독자 기술로 개발 중인 성층권 무인기 ‘EVA-4’가 지난 27일 오전 7시에 이륙해 약 25분간 안정적으로 비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기체 제어 능력과 구조적 안전성,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했다고 28일 밝혔다.EVA-4가 비행하는 성층권은 고도 11~50㎞ 구간을 뜻한다. 대부분의 비행기가 나는 대류권(고도 11㎞ 이하)보다 훨씬 높은 하늘이다. 성층권에서는 대기 밀도가 지상의 7%에 불과해 비행기가 양력(하늘 위로 뜨는 힘)을 받기 어렵고, 온도도 영하 70도까지 떨어져 기체에 스트레스를 준다.지금은 인류의...
합동참모본부 전비태세검열실이 29일부터 공군부대를 대상으로 현장 검열을 실시한다. 전투기의 민가 오폭 사고와 전투기의 기관총 낙하 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합참은 “전비태세검열실이 이날부터 공군부대를 대상으로 작전기강 및 대비태세에 대한 현장검열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비태세검열은 내달 2일까지 4일간 진행하며, 필요할 경우 활동 기간을 연장할 계획이다.남기수 합참 공보부실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검열의 중점은 작전 기간과 전투준비태세 유지 그리고 공군 임무 수행자들에 대한 임무 수행 절차”라며 “추가로 애로 및 건의 사항까지 수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 부실장은 이번 검열이 국방부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합참이 전비태세검열 활동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통상 검열 활동은 비공개로 진행한다. 검열 활동을 공개한 것은 최근 공군에서 전투기 사고가 잇따르자 군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