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이 ‘트럼프 관세’ 문제를 다루기 위한 ‘2+2 통상 협의’의 후속 조치로 환율 협의를 시작했다. 미국이 무역수지 적자 개선을 위해 원화 가치 절상(환율 하락)이 이뤄질 수 있는 조치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최근 인위적인 고환율 정책을 펴오지 않은 데다 환율에 개입할 수단도 마땅치 않다. 이 때문에 미국이 환율을 지렛대로 삼아 다른 통상 분야에서 양보를 얻어내려는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1일 기자와 통화하면서 “미국 재무부와 환율 관련 실무 협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미 재무·통상 장관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진행한 ‘2+2 협의’에서 관세·비관세, 경제안보, 투자협력과 함께 환율을 공식 의제로 삼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미국이 통상 협상을 하면서 환율 문제를 끌어들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018년 3월 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 결과 보도자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