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이병찬 중앙
작성자  (175.♡.27.85)
이병찬 중앙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느리게 달리기와 빨리 걷기 모두 중강도의 운동으로 건강 증진 효과는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매주 150분 이상 중강도 운동을 할 때 심혈관 질환과 사망률 위험을 낮춘다며 지속적으로 운동할 것을 강조했다. 중앙대병원 제공 50대 직장인 주상현 씨(가명)는 최근 달리기를 시작했다. 다만 빠른 속도로 달리지는 않는다. 일상적인 걷기와 비슷하거나 살짝 빠른 속도다. 느리게 달리는, 이른바 ‘슬로우 조깅’이다. 주 씨는 2주에 1회 이상 5km에서 7km까지 달린다. 이처럼 느리게 달릴 때도 건강 증진 효과가 클까. 주 씨는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체중이 빠지진 않았지만, 체력 유지에는 좋다는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주 씨는 무릎이나 발목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오래 달릴 수 있는 것을 느리게 달리기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다. 앞으로 속도를 조금 더 높이고 횟수도 늘릴 계획이다. 요즘 달리기 열풍이 거세지만 여전히 걷기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많다. 두 종목의 장단점을 이병찬 중앙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가 분석했다. ● 느리게 달릴까, 빨리 걸을까이 교수는 운동 강도를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로 분류했다. 고강도 달리기는 1km를 6∼7분에 주파할 정도, 즉 시속 8∼9km다. 이런 속도로 달리면 빠르게 걷는 것보다 운동량이 상당히 많다. 부상 위험도 크지 않을까. 이 교수는 “달릴 때 무릎과 발목이 다친다는 것은 오해다. 제대로 자세를 잡고 달린다면 부상 위험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고강도 달리기는 훈련하지 않으면 지속하기 어렵다. 평균 시속 6km 내외의 느리게 달리기가 좋다. 속도만 놓고 보면 시속 6km 내외로 빨리 걷는 것과 똑같은 중강도 운동이다. 미국 심장학회·심장협회도 이 두 가지를 중강도 유산소 운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강도가 비슷하니 두 방식의 건강 증진 효과도 비슷하다. 이 교수는 “여러 연구 결과 1주일에 최소한 150분 이상 중강도 운동을 수행하면 심혈관계 질환 위험과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빨리 걷든, 느리게 달리든 효과가 같으니 1주일에 150분 이상 운동 시간을 지키는 게 더 중요하다는 것. 다만 똑같은 속도 ‘네가 4시에 온다면 난 3시부터 행복할 거야’전 전경.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수원시립미술관은 개관 10주년 기념전 ‘네가 4시에 온다면 난 3시부터 행복할 거야’를 선보이고 있다. 생텍쥐베리의 ‘어린 왕자’ 속 메시지인 “네가 4시에 온다면 난 3시부터 행복할 거야”를 예술적 사유로 재해석한 이번 전시에는 동시대에 활동하는 회화작가 채지민과 함미나가 참여했다. 전시에선 총 38점을 만날 수 있다.채지민 작가는 일상적 오브제들을 비일상적 맥락 속에 배치함으로써 초현실적 풍경을 만들어 익숙한 사물들을 낯설고 신비롭게 바라보게 한다. 함미나 작가는 어린 시절의 감정을 섬세하고 은유적인 방식으로 캔버스에 표현해낸다. 미술관은 이들의 작업을 통해 잊힌 순수한 감수성을 상기하고 상상력을 일깨우는 자리를 마련한다. ‘네가 4시에 온다면 난 3시부터 행복할 거야’전 전경.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1부 ‘기억의 풍경, 현실과 비현실 사이 - 채지민’ 전시 전경./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전시는 총 2부로 나뉜다. 1부 ‘기억의 풍경, 현실과 비현실 사이’는 채지민의 현실과 비현실 사이의 경계를 탐구하는 독특한 예술적 실험을 담는다. 그의 작품은 평면성과 공간감이 만들어내는 모순적 공존을 치밀하게 탐구한 결과물이다. 일상의 오브제들을 비일상적 맥락에 배치하여 관람객에게 낯선 감각과 경험을 제공하여 초현실적인 긴장감을 자아낸다.특히 ‘압도적인 벽’ 시리즈는 장식적 요소를 배제한 캔버스에 3차원적 공간감을 부여하여 강렬한 시각적 괴리감을 만들어 낸다. 화면 속 인물들과 인공 벽들은 예측 불가능한 거대함과 미지의 영역을 암시한다. 2부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 - 함미나’ 전시 전경.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2부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에서는 함미나의 유년시절 바닷가에서의 경험을 그려낸다. 작가는 작품 활동을 통해 자신을 치유하고 관람객에게 위로를 건네는 작업을 지속해 오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자전적 서사를 기반으로 한다. 일상적이지만 강렬하게 각인된 이미지와 감각을 자연스럽게 녹여낸 이런 기억들은 작가의 손끝에서 종이로 옮겨지며 하나의 작품으로 확장된다.함미나 작가는 거짓 없이 발산되는 아이들의 순수한 감정들을 순간의 장면으로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64,078 개, 페이지 1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