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지난 4월 26일, 전국에서 출발
작성자  (112.♡.184.58)
지난 4월 26일, 전국에서 출발한 수십 대의 버스가 경북 구미로 모여들었다. 한국옵티칼하이테크의 불 탄 공장을 지키며 싸우고 있는 노동자들을 만나기 위해서다. '고용승계로 가는 옵티칼 희망버스'가 다다른 그곳에는 어느덧 500일을 앞두며 최장 고공농성이라는 슬픈 기록을 쓰고 있는 박정혜와 소현숙, 그리고 이들을 지키며 지상에서 함께 싸우고 있는 배현석, 이지영, 이희은, 정나영, 최현환이 있었다. 이들은 불 탄 공장을 핑계로 정리해고한 회사에게 고용승계를 요구하는 투쟁을 하고 있다."노동자는 쓰다 버리는 소모품이 아니다"옵티칼 구미공장의 노동자들은 LCD(액정표시장치)의 핵심 부품인 편광필름을 만들어왔다. 원재료를 규격에 맞게 재단하고, 미세한 불량을 잡아내는 등의 작업을 12시간씩 2교대로 꼬박 10년, 20년을 해왔다. 2022년 10월 4일, 공장이 화재로 전소했다. 하루 사이에 일터가 사라진 노동자들에게 회사는 공장 재가동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한 달만 기다려달라 했다. 그러나 한 달 뒤 회사는 본사인 닛토덴코가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며 위로금을 받고 나가라 하고, 이를 거부한 노동자들에게는 문자로 해고를 통보했다. 소현숙 씨의 말대로 "노동자가 소중한 인적 자원이라던 닛토덴코는 노동자를 물건 버리듯 길거리로 내몰았"다. 어떠한 미안함, 책임감도 보이지 않는 회사의 태도에 배신감과 서글픔을 느끼며 7명의 해고노동자들은 2022년 11월 4일 점거농성을 시작했다.옵티칼 노동자들은 일회성 보상이 아니라 평생 해왔던 일을 오랜 세월 함께해온 동료들과 이어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것을 회사에 요구했다. 방법이 있다. 우선 화재 보험금으로 받은 1300억 원으로 충분히 공장을 재가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닛토덴코는 사업 청산을 결정하며 200여 명의 노동자들 삶을 내팽개쳤다. 그러면서도 물량은 포기하지 않았다. 닛토덴코는 본인의 또 다른 자회사인 한국니토옵티칼(이하 니토옵티칼) 평택공장으로 그간 구미공장에서 생산해온 물량을 이전시켰다. 물량이 늘어난 만큼 일손이 필요한 상황이니 노동자들은 '고용승계'를 요구했지만, 닛토덴코는 둘이 별개 법인이라 법적 의무가 없다며 외면했다. 그런 와중에 평택공장에서 156명의 신규 인력이 채용된 사실이 밝혀졌다(2025년 3월 "한국어 하면 월급 3배"… 하노이 20대 학생들 ‘ 【파이낸셜뉴스 하노이(베트남)=김준석 기자】 "한국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더 좋은 회사로 이직하고 싶어 토픽 한국어능력시험(토픽·TOPIK)을 보러 왔어요. 베트남에서는 영어를 하면 월급이 2배, 한국어를 하면 월급이 3배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국어가 취업시장에서 큰 무기입니다."(한국 대기업 협력사 베트남 현지 직원 황모씨) "너무 긴장돼서 어제 한숨도 못 잤어요. 대학원을 가려면 이번엔 꼭 6급을 따야 하는데…."(한국 유학을 준비하는 대학교 4학년생 응우옌응옥아인씨) 11일 토픽 고사장인 베트남 하노이 다이남대학교 교문에 들어서는 응시자들은 저마다 토픽 응시 이유를 이같이 말했다. 이날 응시자 대부분이 20대였으며, 일찌감치 한국 대학 입학을 위해 토픽시험 응시에 나선 일부 10대 학생의 앳된 얼굴이 눈에 띄었다. 한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은 "에스파를 보러 가고 싶어서"라고 토픽시험 응시 이유를 수줍게 말했다. 이날 학생들은 시작종이 치기 전까지 손때 묻은 노트와 교재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등 사뭇 진지한 분위기에서 치러졌다.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시험감독관들도 매의 눈으로 고사장을 둘러보는 등 엄숙한 분위기가 '고시'를 방불케 했다. 이날 토픽시험은 베트남에서 100회차를 맞는 시험이어서 의미를 더했다. 토픽시험 응시자 수는 지난 2020년까지만 해도 1만5912명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6만2985명까지 수직 상승하며 베트남 '한국어 열풍'을 반영하고 있다. 지난 5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고사장에는 한국 고용허가제 대상자 선발과정 특별토픽에 7900여명의 응시자가 몰려 베트남 언론이 대서특필하기도 했다. 김현동 하노이한국교육원장은 "중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가 외국어로 채택되고 조기교육이 시작되면서 수준 높은 인재들이 많이 배출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베트남 교육훈련부는 지난 2021년 한국어를 제1외국어로 추가 선정했다. 베트남에서 제1외국어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제2외국어는 중등학교부터 선택과목으로 가르친다. 한국어를 외국어 과목으로 채택한 베트남 내 초중고는 2023년 95개교(2만640명)에서 지난해 132개교(2만8345명)로 늘었다. 한편 베트남 내 한국어 열풍이 양질의 성과를 내면서 일각에서는 "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60,121 개, 페이지 1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